
25일, 부산 벡스코 서 ‘2025 대한민국 지역 대포럼’ 열려
박 완수 지사 ‘지방자치 30년, 경남의 과제와 미래 비전’ 주제 발표
경제자유자치도‧산업구조 개혁‧부 울 경 초 광역 협력 강화 구상도
부산은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 도시’, 울산은 ‘AI 제조 혁신 비전’ 발표
박 완수 도지사는 25일 부산 벡스코 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지역 대포럼’에서 지방자치 30년의 성과를 돌아보고, ‘이순신의 바다’ 남해안 비전과 경남 산업 구조 개혁을 축으로 한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박 도지사는 이날 “해외에서 ‘K-푸드·K-팝·K-드라마’로 대표되는 K-열풍을 보며 대한민국의 위상을 실감한다”면서 “국내 정치·사회에서는 여전히 공익 보다 사익 이 앞서는 모습이 있다. 지금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신은 바로 공직자의 책임과 본분, 공동체를 먼저 생각하는 이순신 정신”이라고 했다.
이번 포럼은 KNN, 동남 권 발전 협의회, 부산 경남 행정 통합 공론화 위원회 공동 주최·주관으로 열렸으며, 박 도지사를 비롯해 부산·울산광역시장, 방송사 대표, 유관 기관장 등 200 여 명이 참석했다.
박 지사는 이날 포럼에서 ‘지방자치 30년, 경남의 과제와 미래 비전’을 주제로 발표하며 민선 8기 도 정 운영 방향을 “갈등보다 통합, 이익보다 공익을 우선하는 K-정신(Spirit)”이라고 했다.
이날 발표에서 박 지사는 ‘이순신의 바다, 남해안의 비전’을 집중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남해안은 이순신 장군의 정신이 살아 있는 곳이자, 북극항로 개척 시 세계 물류의 중심기지로 도약할 잠재력이 큰 지역”이며 “조선·물류·관광이 집적 된 남해안을 국가 경제의 새로운 성장 축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이어 “남해안을 글로벌 해양 벨트로 구축해 대한민국 해양·물류 거점의 핵심 축으로 만들겠다”고 설명 했다.
또, 박 지사는 경남의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해 ‘산업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조업 중심 구조만 으로는 청년 일자리 미스 매치를 해소하기 어렵다”며 “경남은 물류·제조·로봇과 결합한 ‘피지컬 인공지능(AI)’ 분야에 특화해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 김해 콘텐츠 클러스터 조성 등과 연계해 산업 구조를 다각화·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전통 주력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인공지능(AI)·콘텐츠 등 신 산업을 결합해 경남 형 미래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박 지사는 경남 전역을 규제 부담 없이 기업이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는 ‘경제자유 자치 도’로 발전시켜 투자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부산·울산과의 ‘부 울 경 초 광역 협력’을 강화해 상생 기반의 공동 발전 체계를 구축하고, 경제·시민 사회 전반으로 협력을 확장해 지역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구상도 함께 제시했다.

발표를 마무리 하며 박 지사는 “경남은 부산·울산과 함께 대한민국의 희망을 만드는 중심지로 새 시대를 열 것”이라며 “그것이 바로 경남의 희망이자 미래 비전”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 박 형준 부산 광역 시장은 ‘대한민국 혁신 균형 발전의 시작, 글로벌 허브 도시 부산’, 김 두겸 울산 광역 시장은 ‘AI대 전환 시대, 울산이 설계한 미래’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