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5차 국가 철도 망 대응 실무 회의, 도·시군·연구원 ‘원 팀 전략’ 구축
정부 동향·쟁점 노선 점검, “11개 철도 사업 최대한 반영 시킬 것”
경남도가 25일 경상남도기록원에서 제 5차 국가 철도망 구축 계획 대응을 위한 실무 회의를 개최하고, 도 핵심 철도 사업의 국가 계획 반영을 위해 시군·연구 기관과 공동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도 공무원, 12개 시 군 담당자, 경남 연구원 연구진 등 총 30 여 명이 모여, 국토 교통부 ‘제5차 국가 철도망 구축 계획’에 도의 철도 사업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최신 정부 동향을 공유하고 지역 별 대응 방안을 점검했다.
실무 회의는 국토부 철도 망 정책 동향 설명, 시 군별 건의 사업과 쟁점 발표, 경남 연구원의 분석을 통한 정책·기술 지원, 추가 대응 전략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각 시 군은 도가 제출한 11개 철도 망 사업의 논리와 지역 쟁점·해결 과제를 공유하며, 국가 계획 반영을 위한 공동 대응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도는 도–시군–연구원이 함께 움직이는 상시 협력 체계를 공식화했다.
시.군이 제출한 자료를 기반으로 사업 별 논리를 보완해 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 등 중앙 부처 협의 시 경남 전체의 공동 요구 안으로 전달할 계획이다.
또, 향후 정례 협의 체를 열어 국토부의 검토 방향과 보완 요구에도 즉각 대응할 방침이다.
그간 도는 국가 철도망 반영을 위해 도 교통망(도로‧철도) 종합 구상 용역, 부 울 경 초 광역 경제 동맹 협력 사업, 영 호남 협력 사업, 이 재명 정부 지역 공약 반영, 도 철도 정책 포럼·철도 망 구축 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해당 시 군과 함께 국회의원 토론회, 서명 운동 추진, 릴레이 캠페인 등도 추진했다.
도는 제 5차 국가 철도망 구축 계획이 수도권과의 이동 격차 해소, 가덕 신 공항 연계 교통 망 확보, 서부 경남 접근성 강화, 국가 균형 발전 기반 마련 등 미래 교통·산업 구조를 좌우하는 핵심 계획임을 강조했다.
박성준 도 교통 건설 국장은 “경남 철도 망은 지역 균형 발전을 넘어 대한민국 산업·물류 체계의 새로운 축을 세우는 사업”이며 “도와 시군, 지역 연구 기관의 역량을 결집해 경남의 주요 철도 사업이 반드시 국가 계획에 반영되도록 끝까지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