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지방 자치단체 최초, 생성형 AI기반 통합 복지 플랫폼 구축 착수
복지 행정의 디지털 전환 가속…도민 중심의 스마트 복지 실현
경남도는 5일 오전 10시 30분 도청 중회의실에서 「생성형 AI기반 통합복지플랫폼 구축 용역」 착수 보고회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갔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영선 경남도 복지 여성 국장을 비롯해 도 및 18개 시군 관계자, 수행 기관인 솔트 룩스 컨소시엄(솔트룩스·다이퀘스트·아이웍스)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용역 추진 계획 보고와 함께 현장 의견 수렴이 진행됐다.
이번 사업은 도민의 복지 서비스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복지 행정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분산된 복지 정보를 통합하고 맞춤형 상담이 가능한 ‘경남 형 통합복지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플랫폼이 구축되면 도민은 문자나 음성으로 본인의 연령·가구상황·소득 수준 등에 맞는 복지 서비스를 인공지능(AI)를 통해 추천 받을 수 있게 돼 필요한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당초 2025년 통합 복지 포털, 2026년 복지 특화 생성 형 AI 시스템 등 2개년 단계로 구축할 계획이었으나, 2025년 제1회 추가 경정 예산에서 도 비 12억 원을 추가 확보함에 따라 일정을 앞당겨 통합 추진하게 됐다.
2026년부터 본격 추진되는 ‘경남 형 통합 돌봄 추진 체계 구축 사업’과 연계해 읍 면 동 현장의 복지 업무를 지원하고, 도민 돌봄 서비스 강화를 위한 기반을 조기에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사업 내용은 ▵생성형 AI 기반 복지상담(문자·음성) 시스템 구축 ▵복지 특화 대규모 언어모델(LLM) 적용 ▵복지서비스 통합 포털 구축 ▵RAG(검색증강생성) 기반 지식관리시스템 구현 ▵생성형 AI시스템 운영 인프라 구축(GPU서버, 클라우드) 등이다.
도는 이번 플랫폼 구축을 통해 복지 정책 전달 체계를 효율화하고, 복지 상담.민원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등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한, 구축된 데이터와 API를 민·관·학에 개방해 예산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복지연구·정책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김영선 도 복지 여성 국장은 “복지정보가 여러 기관에 흩어져 접근이 어려운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생성형 AI 기술을 도입하게 되었다”며, “도민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복지서비스를 찾고 상담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용역은 오는 2026년 4월까지 6개월간 추진되며, 구축 완료 후 시범운영을 거쳐 도민에게 전면 개방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