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행정부지사 주재 유관기관 대책회의 개최
시.군·유관 기관과 기상 전망 공유... 재난 대비 체계적 대응 총력
4대 재난 유형별 취약시설 중점 관리
경남도는 본격적인 장마철을 앞두고 19일, 행정부지사 주재로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열고 4대 재난유형별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대응실태를 재점검했다.
도 실·국장, 시군 부단체장, 유관기관, 기상자문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영상회의로 진행됐다. 장마가 본격화되기 전 위험 요소 점검과 기관 간 협업 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기상청 예보를 통한 장마 초반 강우전망 공유 △취약시설별 대응계획 점검 △도-시군-기관별 협력사항 논의 등을 했으며, 특히 인명피해 우려 지역에 대한 실질 대응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도는 반지하 주택, 저지대 도로 등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생활공간을 중심으로 현장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호우 예보 시 주민들에게 사전 대피를 안내하고, 공무원이나 자원봉사자를 통한 대피 지원 체계도 함께 가동할 계획이다.
지하 주차장이 있는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물막이판 설치 여부와 수방자재 비치 상태를 점검하고 있으며, 침수 우려 단지에는 추가 설치를 독려하고 있다. 기상특보 발효 시에는 공동주택관리 통합플랫폼(GN-Home)을 통해 입주민에게 상황을 전파하고, 단계별 대응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공사 현장의 옹벽·사면 붕괴 위험 여부, 가설구조물 고정 상태 등 점검을 비롯해 장기간 방치된 현장은 자재 정리, 외부인 출입 통제 등 안전조치를 하며, 특히 타워크레인이 설치된 현장은 도와 시군이 합동점검을 실시한다.
외국인 근로자에게는 모국어 안내문과 안전보건앱으로 기상상황, 대피요령을 알리고, 각 현장에서는 기상특보 발령 시 비상대응계획에 따라 근로자 대피와 안전 확보 조치를 즉각 시행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췄다.

산사태 발생 우려 지역과 산불피해지(하동, 산청)를 중심으로 사전 점검을 강화하고, 주민 대피체계를 마련해 비상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또한, 여름철 자연재난에 대비해 산사태대책상황실을 운영하고, 기상 모니터링과 현장 점검을 통해 시군,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낙동강유역환경청과 합동으로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을 대상으로 빗물받이, 맨홀 등 하수도시설에 대한 현장 점검도 실시하고 있다.
하수관로로 인한 지반침하 사고 예방을 위해 취약 지역에 대한 지반탐사도 함께 추진 중이다.
도는 지반 약화가 우려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마쳤으며, 국토안전관리원과 협의해 지반탐사반을 투입, 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반지하주택, 공동주택, 건설현장 등 도민 생활과 밀접한 취약시설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도-시군-유관기관이 긴밀히 협력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장마철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