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기물림 예방을 위한 행동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등 당부
2011년 이후 출생 아동은 지역 보건소에서 무료 접종
경남도는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9월은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생 밀도가 정점에 달하므로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전파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와 동남아시아 및 서태평양 국가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일본뇌염으로 신고된 환자(92명)의 특성을 살펴보면, 9~10월에 80%가 발생하였고, 50대 이상이 전체 환자의 87.9%(80명)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며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고 10월 말까지 활동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모기에 물리면 잠복기가 5~15일로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 시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뇌염의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현재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어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인 2011년 이후 출생 아동들은 일본뇌염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지역 보건소를 방문하면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
아울러,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중 ①위험지역(논,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②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③일본뇌염 위험국가* 여행자 등에 대해서도 예방 접종(유료)을 권장한다.
*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브루나이, 버마,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 호주, 파푸아뉴기니(CDC, ’24.6)
도 관계자는 “9월은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시기로 야간에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 소아는 접종 일정에 맞춰 반드시 접종할 것을 당부”했다.
< 일본뇌염 모기물림 예방수칙 >
① 야외 활동 시
- 모기가 활동하는 4월~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일출 직전)에 야외 활동 자제
- 야간 외출 시 밝은 색 긴 옷,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고,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
- 실내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 정비 및 모기장 사용 권고
② 가정 및 주위환경
- 방충망 점검 또는 모기장 사용
- 집주변의 물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은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고인 물 없애기
< 질의 응답 >
① 일본뇌염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초기 증상은 무기력증과 발열이며 종종 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할 수
있으며, 뇌 징후, 뇌신경 마비, 인지 및 언어장애가 나타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파킨슨 증상과 발작이 생길 수 있음
② 일본뇌염의 치료법은 무엇인가요
- 일본뇌염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이 없어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 요법
③ 성인이 될 때까지 접종을 못한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
- 불활성화 백신의 경우 3회 접종(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11개월 후 3차 접종)
- 생백신의 경우 키메라 바이러스 백신 1회 접종
|